본문 바로가기
대학원생활

[직장인 대학원] 논문 작성의 첫걸음

by 꿈꾸는리얼리스트 2023. 8. 15.
300x250

특수대학원생이 논문을 작성할 때, 가장 중요한 것 중 하나는 바로 신뢰성 있는 자료를 찾는 것이다. 특히, 자신의 연구 주제와 관련된 논문을 참고하면 논문의 질을 높일 수 있다. 그렇다면 이러한 양적, 질적 자료는 어디서 찾고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지 알아보자.

@ RISS 내 '공매도' 키워드 검색


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를 활용한 논문 검색

학교 중앙도서관 홈페이지를 통해 로그인하면 대학원생 신분으로 다양한 논문 검색 사이트에 접근할 수 있다. 그중에서도 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는 학위논문 검색에 매우 편리하다. 원하는 논문의 키워드를 입력하면 관련 논문들을 리스트업 해준다.

 

 


 

RISS의 효율성

하지만, 모든 논문을 일일이 검토하기는 시간적으로 비효율적이다. 이때 '검색결과 좁혀보기' 기능을 활용하면 '박사학위, '석사학위' 논문만 따로 추출해서 볼 수 있다. 석사학위 논문은 상당히 많지만, 박사학위 논문은 상대적으로 적다. 그 이유는 박사학위 소유자가 더 적고, 박사과정의 수료생이 많기 때문이다. 박사학위 논문은 심사과정이 석사논문보다 엄격하기 때문에 연구 방법이나 내용의 완성도가 더 높다. 따라서, 연구 주제와 비슷한 박사 또는 석사 논문을 롤모델로 찾아 연구 방법, 결과 분석, 결론 등을 상세히 분석하면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또한, 논문 작성 과정에서 본인의 연구주제와 깊은 연관성이 있는 롤모델 논문의 활용은 논문의 질을 한층 끌어올릴 수 있다. 논문 작성이 막히거나 방향을 잡기 어려울 때, 롤모델 논문을 참고하면 연구의 방향성을 잡는 데 큰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논문 작성 초기부터 참고할 만한 논문을 충분히 준비해 두는 것은 논문의 품질을 높이는 데 결정적인 요소로 작용할 것이다.

@ RISS 내 '최창환' 연구자의 '공매도차익거래와 발생액 이상현상의 관계 고찰'


 

롤모델 논문을 통한 연구방법의 깊은 이해

특수대학원생이 연구 주제를 선정하고 나서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연구방법론을 설정하는 것이다. 여기서 롤모델 논문의 활용은 매우 중요하다. 롤모델 논문을 통해 이미 검증된 연구 방법들을 파악하게 되면, 본인의 연구 주제에 어떤 방법론이 적합한지, 혹은 어떤 방법론을 조합해야 효과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는지를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롤모델 논문의 실험 설계나 데이터 분석 과정을 깊이 파악함으로써, 흔히 발생할 수 있는 실험의 오류나 분석의 함정을 미리 막을 수 있다. 특히 연구 초기에 발견되지 않은 오류는 후에 큰 문제로 다가올 수 있으므로, 롤모델 논문을 꼼꼼히 분석하는 과정은 연구의 퀄리티를 높이는 데 큰 도움을 준다.

 

 


 

롤모델 논문을 활용한 연구의 논리 구조 잡기

우리는 논문을 처음 써보는 것이기 때문에 논문을 작성하는 과정에서, 연구의 논리적 구조를 효과적으로 만드는데 롤모델 논문이 연구 논리 구조를 참고하는 것이 큰 도움이 된다.

 

롤모델 논문의 서론, 본론, 결론의 구성을 체계적으로 분석하면 어떻게 연구의 배경을 설정하고, 주요 연구 내용을 설명하며, 마지막으로 결론을 어떻게 도출하는지를 명확히 알 수 있다. 이를 통해 본인의 논문도 체계적으로 구조적으로 작성할 수 있었다.

또한, 롤모델 논문에서 사용된 논증 방식이나 논리의 흐름을 분석함으로써, 본인의 연구에 어떤 논증 방식이나 논리 구조가 효과적일지에 대한 힌트를 얻을 수 있다. 이런 과정을 통해, 논문의 내용이 풍부하고 탄탄한 논리로 통일감 있게 구성할 수 있다.

 

 


 

마무리

직장인이 낮에는 업무와 밤에는 학업을 하기에는 정말 심적으로 몸적으로 힘듭니다. 하지만 이제 논문을 쓰기로 다짐했고, 시작하고 있는 단계니까 걱정하지 말고 논문을 써보자고요. 처음에는 앞이 보이지 않을 정도로 막막하고 어떻게 해야 하는지 모르겠지만, 이미 연구의 길을 걸어온 선배들의 논문, 바로 '롤모델 연구'가 있기 때문에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롤모델(선행연구) 연구를 깊이 있게 분석해서 논문의 구조를 체계적으로 이해할 수 있고, 이미 검증되어 있는 선행연구 방법론과 연구 결과를 가지고 노하우를 찾으실 수 있으실 거예요, 그리고 선행 연구의 서론, 본론, 결론의 구성을 잘 파악하고 연구 배경을 설정하면 결론을 쉽게 도출할 수 있을 것입니다.

 

힘들지만, 내가 선택한 길이니까 논문에 대한 두려움을 접고 연구 성과를 내보이셨으면 좋겠습니다!

 

 

300x250